임금 사각지대에 놓인 노동자들에 대한 연속 보도, 네 번째입니다. <br /> <br />근로기준법 개정으로 올해부터는 30인 이상 민간기업 노동자도 공휴일에 일하면 휴일근로수당을 지급 받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휴일근로수당을 받아도 전체 임금은 늘어나지 않은 용역 노동자들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무슨 이유에선지, 신준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 성북구청 도시통합 관제센터에서 용역 업체 소속 모니터링 요원으로 일하는 A 씨. <br /> <br />개정된 근로기준법에 따라 올해부터 30인 이상 민간업체 노동자도 휴일근로수당을 받을 수 있게 되면서 A 씨 역시 매달 28만 원 정도를 수당으로 받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한 달 임금 전체로 따져보니 인상률은 고작 1.3%, 한 달에 채 3만 원도 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최저임금 인상률 1.5%보다도 낮습니다. <br /> <br />[A 씨 / 성북구청 용역 노동자 : 정말 황당했었죠. 공공기관인데, 법으로 정한 휴일근로수당을 회피하려고…되게 놀라웠고, 나중에는 화가 났죠.] <br /> <br />왜 이런 건지 지난해와 올해 A 씨 월급 명세서를 비교해봤습니다. <br /> <br />휴일 수당은 생겼지만, 기본급 시급은 지난해 9,045원에서 올해 8,742원으로 오히려 내려갔습니다. <br /> <br />연장·야간 수당도 4만 5천 원가량 줄었고, 복지 차원에서 매달 144,720원씩 주던 상여금은 아예 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 임금을 줄여서 휴일근로수당을 준, 그야말로 아랫돌 빼서 윗돌에 괸 격입니다. <br /> <br />[A 씨 / 성북구청 용역 노동자 : 이제라도 좀 달라고 구청에 문의했는데도 법적으로도 문제가 없고 당신들이 한 계약이니 충분히 합의해서 이렇게 된 거 아니냐고….] <br /> <br />이에 대해 용역업체 측은 지난해보다 1.3% 늘어난 성북구청 예산을 가지고 휴일근로수당까지 주려면 어쩔 수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[용역 업체 관계자 : 임금 전체 금액은 이렇게 지급할 거라고 설명했지만, 본인들이 못 받은 것에 대해서만 생각하지 더 받는 건 생각을 안 하시잖아요.] <br /> <br />구청은 용역업체를 통해 고용하는 모니터링 요원이 13명이어서 휴일근로수당을 따로 고려하지 않고 예산을 책정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업체 선정 당시 낙찰될 업체가 30인 이상일지 미만일지 예상할 수 없었던 터라 예산을 편성할 수 없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구청 관계자는 그러면서 내년 용역 예산에는 휴일근로수당을 추가로 반영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내년부터는 휴일근로수당 지급 대상이 5인 이상 30... (중략)<br /><br />YTN 신준명 (shinjm752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930044407990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